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교육의 장에서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가? 본문

기타

교육의 장에서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가?

달고양이 Friday 2004. 7. 13. 21:00

교육자는 무엇을  가리키는가?

교육은 왜 있어야 하는가?

최상의 그 무엇을 위해 종교의 자류를 침해해햐 하는가?

한국의 어디에선 교수의 직을 유지하기  위해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학교당국과 교수들이 있다.

이건 학생과 학교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사회속에서의 종교의 문제이다.

종교는 헌법 이상의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왜 학생들에겐 종교의 자유가 없나

미션스쿨 종교의식 참가 강제 없어져야
 
한 고등학생이 종교의 자유를 달라며 서울시 교육청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다가 학교로부터 제적처분을 받았다는 보도를 접했다. 수요일마다 의무적으로 아니, 강제적으로 들어야하는 예배를 거부하고 헌법 제 20조에서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가 왜 학교에서만 예외가 되느냐며 항의를 한 것이다.

이 보도를 접하고 나서 처음 든 생각은 '세상이 참 많이 바뀌었구나, 그 학생 참 똑똑하네.'였다. 필자 역시 미션스쿨의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다녔다. 고등학교에서는 수요일마다 강당에 모여 단체 예배를 들여야 했고, 매주 한 시간씩 배정된 종교 교육을 따로 받았다. 대학교에서도 역시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정 종교 강의를 들어야했다.
그렇지만 거기에 대해 반발은 없었다. 어릴 적부터 교회에 다녀 고등학교의 기독교 사상에 거부감이 없었고, 대학은 내가 선택해서 들어갔으니 그러려니 하고 수업을 들었다. 그리고 그런 것에 대해 학교 측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항의를 하는 학생은 단언컨대 한번도 본 적이 없다. 학교는 엄격했고 선생님은 엄했으며 교칙은 살벌했다. 그리고 학생은 그런 것에 익숙해져 그 모든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대학교 다닐 때도 민주화 시위나 학과 특성상 저소득층 복지정책의 전문화 등에 대해서는 수업거부를 해가며 데모를 했었어도 '종교의 자유'가 데모의 대상은 아니었다. 지금 생각하면 어리숙한건지 순진한건지 사고의 폭이 너무도 좁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 시위 학생이 아니었다면 아마도 우리나라의 미션 스쿨에서의 종교적 강제성은 익숙해 질대로 익숙해져버린 하나의 붕어빵틀이 되어 그대로 굳어졌을지도 모른다.

모든 세상만사는 양쪽의 말을 모두 들어봐야 제대로 진의를 파악할 수 있다. 학교는 학교 나름대로의 입장과 주장이 있을 것이다. 분명 교육청 앞에서 종교문제로 1인 시위를 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앞뒤 가리지 않고 학생을 제적시키지는 않았을 거라고 믿는다. 제적을 시키기까지 선생님들과 학교 측은 많은 고민을 했었고 오랜 시간 심사숙고 했을 것이다.

만약 수요일 날 보는 예배를 자유로 했을 경우, 상당수의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될 경우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관리하기도 힘들고 그동안 지녀온 전통도 송두리째 흔들릴 거란 판단으로, 그 시위 학생에게 그 뜻을 받아들일 수 없음을 통보했을 것이다. 학교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외부에 문제가 있는 학교로, 좋지 않은 이미지로 각인되는 것일 게다. 그런데 교육청 앞에서 1인 시위를 했으니 학교로서는 얼마나 난감했을까. 

       미션스쿨의 종교적 강제성은 익숙해져버린 붕어빵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보다는 그 학생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싶은 이유는 이젠 미션스쿨도 시대에 따라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학생의 주장을 자세히 알고 싶어 카페를 찾았다. 학생은 그간의 일이며 후원금이 들어온 액수와 쓰임새를 바로 바로 인터넷에 올려놓고 있었다. 학생다운 순수함이 엿보였다. 학교를 골탕 먹이거나 교사에게 원한(?)이 있어 그 같은 일을 벌인 게 아니라는 것을 대번에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전학을 가라는 학교의 권유를 뿌리치고 끝내 제적을 받으면서까지 그 학생이 이루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이 사회에 깊게 뿌리 박혀 있는 종교 이기주의에 대해 메스를 가하고자 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많은 종교가 한 사회에 공존하면서 큰 싸움이나 분쟁 없이 평화롭게 조화를 이루며 사는 나라도 드물다.

학창시절 사회시간에 아랍-이슬람, 미국-개신교, 인도-힌두교처럼 한 나라나 민족의 종교를 외울 때마다 과연 우리나라는 외국 아이들이 뭐라고 배우게 될까 궁금했던 적이 있다. 기독교라고 하기에는 불교가 건재하고, 유교라고 하기에는 종교적 개념이 희박하며, 샤머니즘이라고 하기에는 미개한 나라 같아 어쩐지 거부감이 든다. 교회에, 불교에 다니면서도 점쟁이에게 사주를 묻고 좋은 이름을 받아 자식이나 손자에게 지어주고, 궁합을 보고 손 없는 날을 잡아 결혼식을 올리며, 조상의 제사상을 차리는 모습은 글쎄,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든 현상일 것이다.

그러나 겉으로는 평화로울망정 내부로 들어가면 치열한 종교 우월주의, 이기주의에 빠져있다. 어릴 적부터 교회에 다녔지만 목사님이 불교를 비난하는 설교는 심심찮게 들을 수 있었고 기독교 이외에 종교는 인정되지 않았다. 김수환 추기경이 새로 지은 절의 축사를 하고 불교 지도자가 답례로 성당에 가서 설교를 했다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뉴스거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우리네 일상의 현실과는 먼 이야기다.

주변에서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반목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필자의 친구 중 둘은 성당에 다닌다. 둘 다 우연찮게 배우자는 가톨릭이 아니었다. 한 친구의 부모님은 사위될 사람에게 개종할 것을 요구했지만 그 사람이 거부해 결혼식에도 참석하지 않고 여태껏 왕래도 없이 지낸다. 한 친구의 남편은 결혼식도 성당에서 올릴 만큼 친구 부모님의 뜻에 따랐지만 세월이 흐른 지금은 처음 자신이 믿었던 종교를 다시 가졌다.

자신의 종교가 아닌 타인의 종교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하면 자칫 그 종교로 인해 미움과 원망이 자리 잡게 되고 인간 간에 깊은 골을 만든다. 종교는 그걸 믿는 사람들에게 엄격할망정 타 종교인에게까지 그 종교를 엄격하게 들이대서는 안된다. 내가 믿는 종교에 대해 타인에게 강요받지 않으려면 나 또한 타인의 종교를 인정해야 한다는 진리는 그곳이 회사건, 군대건 학교건 간에 통해야만 한다. 종교를 믿는 게 자유라면 아무것도 믿지 않을 자유도 있는 것이고 그것까지를 포함해서 '종교의 자유'라 할 수 있다.

미션스쿨이 많은 우리나라 실정상 이런 문제는 드러내지만 않았지 이미 곳곳에 뿌리박혀 있다. 더군다나 고교 평준화가 실시되는 지역이 있고 그렇지 않은 지역이 공존하는 한국에서 학교를 자신이 선택해서 갈 수 있는 학생은 제쳐두고라도, 원치 않게 미션스쿨에 간 학생들이 있는 현실에서는 이제 학내 종교문제는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평준화가 실시되지 않는 지역에서 원치 않은 미션스쿨에 배정된 것까지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그 학교가 원하는 종교의식에 학생이 의무적으로 참가하는 일은 이제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어떤 종교를 믿게 하는 것은 강요와 강압이 아닌 포용과 너그러움이란 것을 깨달아야한다. 종교의 강요는 반발만 불러일으킬 뿐이다. 이솝우화에서 나그네의 옷을 벗긴 것은 바람이 아니라 태양이었듯이 말이다.

국정넷포터 한경희 lupinus@neti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