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국내 저자에 의한 푸코 관련 연구 논문․서평. 본문

푸코디언 연구

국내 저자에 의한 푸코 관련 연구 논문․서평.

달고양이 Friday 2014. 7. 25. 14:26

 

 

 

국내 저자에 의한 푸코 관련 연구 논문․서평.

a) 일반 논문․서평.

김경용, 「서평: 가추법과 담론 - 이정우 저 ?담론의 공간?․에코 저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 ?세계의 문학?, 통권 75호,

김성우, <미셸 푸코: 얼굴 없는 글쓰기의 에토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제 19호, 1999 가을.

김재인, 「그러나 모든 고귀한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물다 - 푸코, 들뢰즈, 그리고 대항 문화의 여명 니체」, ?문화 무크지: 이다?, 1996년 1월 창간호, 354-368쪽, 문학과 지성사.

김정오, 「푸코의 권력 이해와 법」, ?법과 사회?, 제3호, 1990.

김종엽, 「자아 정체성과 정치: 푸코와 기든스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997년 가을호(통권 35호), 한울, 1997. 이 논문은 잡지의 특집 ‘정체성의 위기와 현대’의 일부이다.

김진석, 「광기의 역사, 역사의 광기」, ?초월에서 포월로?, 98-133쪽, 솔, 1994. 이 글은 저자의 ‘포월(匍越)의 철학’으로 푸코 등의 관점을 감싸며 한국의 ‘정신보건법’ 문제 등에 대해 논하고 있다.

김진석, 「푸코 자리의 데리다」, ?니체에서 세르까지?, 솔, 1996.

김진성, 「미셸 푸코: 현대 프랑스 지성의 별」, ?新東亞?, 1984년 9월호.

김현, 「계몽주의, 현대성, 성숙성: 푸코-하버마스의 칸트 해석에 대하여」, ?사회비평?, 제2권 제3호, 나남, 1989.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전재되었다: 김현, ?시칠리아의 암소: 미셸 푸코 연구?, 149-176쪽, 文學과 知性社, 1990.

김현,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 11-54쪽, 김현 편, 문학과 지성사, 1989.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전재되었다: 김현, 「푸코의 문학비평」, ?시칠리아의 암소?, 57-98쪽.

김현, 「푸코-데리다 논쟁에 대하여」, ?사회비평?, 1989년 여름호.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전재되었다: 김현, ?시칠리아의 암소?, 99-124쪽.

김현, 「푸코의 미술 비평」, 미셸 푸코 지음,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107-145쪽, 김현 옮김, 민음사, 1995. 이 논문은 위 우리말 번역본의 ‘부록’이다.


문상화, <다윈, 푸코 그리고 감시자. 자연의 선별과 권력에 대한 해석>, 19세기 영어권 문학회, <<19세기영어권문학회 >>, Vol. 2, 1999, 101-120쪽.

박승규, <푸코의 빠르지아 "문제화"가 갖는 시민적 주체 형성의 의미>, <<大韓政治學會報>>, Vol. 10 No. 1, 2002.

박정자, 「푸코의 문명비판: 판옵티즘의 실체와 분석」, ?예술과 비평?, 1988년 가을호.

박태호, 「근대적 주체와 합리성: 베버에서 푸코로?」, ?경제와 사회?, 1994년 겨울호. 박태호는 아래 이진경의 본명이다.

서동진, 「킨제이에서 푸코까지 - 20세기의 성의 지식들」,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 253-271쪽, 성 정치 문화 1, 문예마당, 1996. 푸코와 마찬가지로 동성애자이며 ‘커밍 아웃’(coming out)을 행한 ‘게이 액티비스트’(gay activist) 서동진의 논지는 푸코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같은 책에 실린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13-64쪽)도 참조하라.

서창훈, 「푸코와 근대공장의 권력장치 - 푸코 권력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위하여」

서창훈, 「판옵티콘의 교훈 - 푸코 권력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정치비평?, 384-398쪽, 1997년 봄․여름호, 통권 2호, 한구정치연구회, 푸른숲.

심세광, <미셸 푸코에 있어서의 역사ㆍ진실ㆍ픽션>, 역사학연구소, <<역사연구>>, 12호, 2003년 6월.

안외순, 「푸코의 니체 사상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과정」, ?사회비평?, 364-384쪽, 9호, 나남, 1993.

양운덕, 「계몽적 이성과 지배 -아도르노와 푸꼬의 이성 비판-」, ?哲學硏究?, 116-147쪽, 고려대학교 철학회, 1994년 12월, 제18집.

양운덕, 「푸코가 본 타자 -?광기의 역사?의 경우-」, ?현대시사상?, 181-200쪽, 1996년 겨울호, 통권 29호. 이 논문은 29호의 특집인 ‘타자는 누구인가’ 중 한 편이다. 이 특집은 이외에도 사르트르․레비나스․데리다․라캉의 타자관을 다루고 있다.

양운덕, 「푸코의 권력계보학: 서구의 근대적 주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경제와 사회?, 106-142쪽, 1997년 가을호(통권 35호), 한울, 1997. 이 글은 잡지의 연재 기획시리즈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제5편으로 실렸다.

양해림, <구조의 독해. 딜타이와 푸코의 연속과 불연속의 역사성>, 대한철학회, <<哲學硏究>>, Vol. 84, 2002, 353-379쪽.

양해림, <푸코의 포스트구조주의>,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구>>, Vol. 33 No. 2, 2006, 303-325쪽.

오생근, 「미셸 푸코, 지식과 권력의 해부학자」, ?외국문학?, 114-133쪽, 통권 4호, 1985년 봄호.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동일한 제목으로 전재되었다: 한상진․오생근 外, ?미셸 푸코론: 인간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35-56쪽, 한울, 1990.

오생근, 「?광기의 역사?로부터 ?감시와 처벌?까지 - 미셸 푸코」, ?오늘의 책?, 1985년 봄호.

오생근, 「미셸 푸코와 언술, 권력, 주체」, ?외국문학?, 1987년 가을호.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재수록되었다: 윤호병 外, ?후기 구조주의?, 65-89쪽, 고려원, 1992.

오생근, 「미셸 푸코와 反휴머니즘 -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휴머니즘 연구?, 71-95쪽, 서울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8.

오생근, 「데카르트, 들뢰즈, 푸코의 ‘육체’」, ?사회비평?, 95-121쪽, 1997년 17호, 나남. 이 논문은 17호의 특집 ‘몸의 정치학: 시선과 권력’ 중 일부이다.

윤평중, 「합리성과 사회비판: 비판이론과 후기구조주의를 중심으로」, ?哲學硏究?, 제13집, 고려대학교 철학회 편, 1988.

윤평중, 「탈현대 postmodern 논쟁의 철학적 조망」, ?세계의 문학?, 통권 61호, 1991년 가을호, 민음사.

윤평중, 「미셸 푸코의 사회철학」, ?세계의 문학?, 1989년 가을호;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서광사, 1992.

이광래, <미셀 푸꼬의 구조주의 硏究 (1)>, 강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人文學硏究>>, Vol. 17 No. 1, 1982, 269-292쪽.

이광래, <미셸 푸꼬의 구조주의 연구>, 한국철학회, <<哲學>>, Vol. 19 No. 1, 1983, 75-98쪽.

이광래, <미셀 푸꼬의 구조주의 硏究 (2)>, 강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人文學硏究>>, Vol. 19 No. 1, 1984, 35-52쪽.

이광래, <미셀푸꼬의 권력/지식의 계보학에 관한 비판적 연구>, 강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人文學硏究>>, Vol. 25 No. 1, 1987, 87-105쪽.

이광래, 「미셸 푸코론」, ?세계의 문학?, 88년 봄호, 통권 47호, 민음사.

이광래, 「사상의 반역: 미셸 푸코와 후기 구조주의」, ?新東亞������, 1989년 1월호.

이광래, 「쾌락의 활용으로서의 윤리」, ?현대사회와 윤리?, 211-232쪽, 김영철 外 지음, 서광사, 1989.

이광래, 「현대 프랑스 철학 연구: 니이체와 포스트-구조주의를 중심으로」, ?哲學硏究?, 3-31쪽, 제15집, 고려대학교 철학회 편, 1990년 12월. 특히 4절 ‘니이체와 푸코’를 보라.

이광래, <권력/지식의 미시물리학>, <<한국논단>>, Vol. 8 No. 1, 1990, 206-213쪽.

이광래, 「미셸 푸코: 언어, 지식, 그리고 권력」,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132-181쪽, 김욱동 편, 현암사, 1991.

이광래, 「‘의학적 시선의 고고학’에 대하여 -푸코의 ‘임상의학의 탄생’을 중심으로-」, ?헤겔에서 리오타르까지?, 188-213쪽, 표재명 外 지음, 지성의 샘, 1994.

이광래, <니체와 푸코: 니체 상속인으로서의 푸코>, 한국니체학회, <<니체연구>>, Vol. 4, 2001, 9-28쪽.

이광호, <푸코의 신체담론을 통한 골프선수들의 규율권력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Vol. 44 No. 4, 2005.

이구표, 「담론 실천으로서의 푸코의 마르크스 읽기」, ?프랑스 철학과 우리 3: 포스트모던시대의 사회역사철학?, 153-174쪽, 이구표․이진경 외 지음, 당대, 1997.

이기현, 「하버마스와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 ?사회비평?, 1996년 제15호, 나남. 이 글은 15호의 기획 특집 ‘하버마스: 이성적 사회의 기획, 그 논리와 윤리’의 일부분이다. 푸코에 대해서는 특히 94-112쪽을 보라.

이봉재, 「서평: 낯설음 또는 불연속성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방법 - 미셸 푸코 저 ?지식의 고고학?」, ?세계의 문학?, 통권 66호

이상길, 「천하나의 푸코 - 「비판이란 무엇인가?」를 소개하며」, ?세계의 문학?, 통권 76호

이용주, 「편집증적 지식과 분열자적 지식 -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지식이론」, ?탈주의 공간을 위하여: 들뢰즈․가타리의 정치적 사유?, 263-289쪽, 서울사회과학연구소 편, 이진경 外 지음, 푸른숲 필로소피아 1, 푸른숲, 1997. 특히 1절 ‘푸코의 ‘권력-지식’ 테제의 난점’ 부분을 보라. 푸코의 「?안티오이디푸스? 영역판 서문」(조형근 옮김)을 싣고 있는 이 논문집에 수록된 12편의 국내외 논문 거의 모두는 푸코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정우, 「에피스테메의 변환」, ?科學과 哲學?, 제3집, 과학사상연구회 편, 통나무, 1992.

이정우, 「미셸 푸코의 신체와 권력」, ?문화과학?, 95-113쪽, 통권 4호, 1993년 여름호.

이정우, <미셸 푸코의 고고학과 계보학>,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제 74집, 1995년 12월, 69-82쪽.

이정우, 「푸코의 사상적 배경과 방법」, ?프랑스 철학과 우리 3: 포스트모던시대의 사회역사철학?, 175-221쪽, 이구표․이진경 외 지음, 당대, 1997.

이진경, 「미셸 푸코: 미시정치학의 아포리아」, ?서강대학원 신문?, 1995년 5월 17일자(字).

이진경, 「미셸 푸코와 담론 이론: 표상으로부터의 탈주」, ?철학의 탈주: 근대의 경계를 넘어서?, 197-243쪽, 이진경․신현준 외 지음, 새길, 1995.

이진경, 「푸코의 미시정치학에서 저항과 적대의 문제」, ?프랑스 철학과 우리 3: 포스트모던시대의 사회역사철학?, 95-152쪽, 이구표․이진경 외 지음, 당대, 1997.

이진우, 「권력, 지식, 그리고 욕망 - 권력 의지와 탈권력 의지의 계보학」, ?세계의 문학?, 통권 66호, 1992년 겨울호, 민음사.

이진우, 「현대의 철학적 에토스 -칸트의 계몽주의에 대한 푸코의 탈현대적 해석-」, ?哲學硏究?, 51-72쪽, 제51집, 대한철학회, 1993년 11월. 이 논문은 1993년 11월 6일 경북대에서 있었던 대한철학회의 심포지움 ‘칸트와 포스트모더니즘’ 중 일부로 발표되었다. 이 논문에 대한 이남원의 「논평」이 같은 책 115-119쪽에 실려 있다. 이외에도 이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들은 칸트와 리오타르․하버마스․로티․비판이론과의 관계 등을 다룬다.

이태하, <탈근대성의 시각에서 바라본 종교: 푸코와 로티>, <<철학연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32집, 2007.

전경갑, 「푸코의 지식과 권력이론」, ?현대와 탈현대의 사회사상?, 한길사, 1993.

정일준, 「푸코: 국가를 넘어선 권력과 ‘주체’의 형성」, ?탈현대 사회사상의 궤적: 현대/탈현대의 지평 너머?, 305-348쪽, 한국 산업사회 연구회 편, 새길, 1995.

조광제, <미셸 푸코의 권력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제 2호, 1991.

조흡, 「힘, 몸, 그리고 성: 미셸 푸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강준만 지음, ?인물과 사상? 제4호, 305-336쪽, 개마고원, 1997. 이 논문은 전북대 신문방송학과의 강준만 교수가 만드는 1인 잡지 ?인물과 사상?의 제4호에 ‘특별기고’라는 형식하에 게재되었다. 이 ‘조흡’이란 이름은 자신의 신원을 밝히기 거부하는 논문의 저자가 사용한 필명이다.

진형준, 「서평: 비판적 지성이 끝간 데 - 미셸 푸코 저 ?말과 사물?」, ?세계의 문학?, 통권 44호.

차영길, <서양고대사에서 푸코의 성 담론의 수용과 비판>, 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 경계>>, Vol. 56, 2005, 207-227쪽.

최병두, 「역사, 권력, 공간: 미셸 푸코와 역사지리학」, ?지리학논총?, 14호, 1993.

최영길, <푸코의 후기저작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문제>, 韓國佛語佛文學會, <<佛語佛文學硏究>>, Vol. 60, 2004, 465-487쪽.

최정운, <푸코를 위하여>, <<철학사상>>, No. 10, 2000.

최종욱, 「현대 프랑스 철학의 비판적 이해」, ?프랑스 철학과 우리 1: 현대 프랑스 철학을 보는 눈?, 99-142쪽, 이정우․김성기 외 지음, 당대, 1997. 이 격렬한 논조의 ‘포스트주의’ 비판 논문은 그 상당 부분을 푸코의 비판에 할애되어 있다. 특히 112-130쪽을 보라.

Sang-Jin Han(한상진), 'The Logic of Social Formations: Towards A Synthesis of Althusser, Foucault, Offe and Habermas', Current Perspectives in Social Theory 1, pp. 161-192, 1980.

한상진, 「미셸 푸코의 정치철학과 사회이론: 후기 구조주의의 한 흐름」, ?현상과 인식?, 1981년 여름호, 제5권 제2호. 이 논문은 제목이 약간 바뀌어 다음의 책에 재수록되었다: 한상진․오생근 外, 「미셸 푸코의 철학과 사회사상: 후기 구조주의의 한 흐름」, ?미셸 푸코론?, 11-34쪽, 한울, 1990.

한상진, 「지배와 말: 민주화의 언어적 조건」, ?현상과 인식?, 1981년 겨울호, 제5권 제4호.

한상진, 「구조주의적 방법론」, 김동일 外, ?사회과학방법론비판?, 청람문화사, 1983.

한상진, 「미셸 푸코의 후기 구조주의와 담화적 분석」, ?민중의 사회과학적 인식?, 문학과 지성사, 1987.

한인선, 「미셸 푸코 사상의 미학적 의미」, ?세계의 문학?, 1989년 여름호. 이 논문은 다음의 책에 전재되었다: 한상진․오생근 外, ?미셸 푸코론?, 110-123쪽, 한울, 1990.

함재봉, 「포스트모더니즘과 解放理論의 解體: 푸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26집, 2호, 1992.

함재봉, 「신국제질서,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현실주의 담론의 해체」, 1993년도 한국 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발표문, 1993년 12월 10-11일.

함재봉, 「미셸 푸코의 권력관과 정치비판」, ?현상과 인식?

홍광엽, 「서평: 한국에서의 푸코 이해 - 김현 저 ?시칠리아의 암소?․윤평중 저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세계의 문학?, 통권 57호

홍은영, <푸꼬의 고고학적 방법에 관하여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 1994년 12월, 제 18집, 148-189쪽.

홍은영, <‘성찰하는 주체’는 미칠 수 없는가? - 데카르트적 광기 배제에 대한 푸코와 데리다의 논쟁>, 한국해석학회, <<낭만주의 해석학 - 해석학연구 제12집>>, 철학과현실사, 2003.

홍은영, <푸꼬와 몸, 그리고 보이지 않는 권력. 『광기의 역사』와 『감시와 처벌』을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哲學硏究>>, Vol. 89, 2004, 387-417쪽.

황정미, 「섹슈얼리티의 정치 - 일상생활과 민주주의」, ?사회비평?, 13호, 나남, 1995.

황정미, 「푸코/페미니즘/모더니티」, ?미셸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251-271쪽, 황정미 편역, 새물결,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