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security and global governmentality 본문
내 연구 관심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안보와 통치성이다. 제주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생각해 볼 때,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통치성 연구에서 안보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해외 연구들을 찾아 읽어볼 예정이다.
이 연구 외에 아래와 같은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은 이 도서에 담긴 "European Diplomacy and the Origins of Governmentality"에서 참조한 것이다.
Lippert, R. (1999) ‘Governing Refugees: The Relevance of Governmentality to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Alternatives 24(3): 295-328.
Larner, W. and Walters, W. (eds) (2004a) Global Governmentality: Governing International Spaces, London:Routledge.
Larner, W. and Walters, W. (2004b) ‘Globalization as Governmentality’, Alternatives 29(5): 495-514
Hindess, B. (2000) ‘Divide and Govern: Governmental Aspects of the Modern States System”, in R. Ericson and N. Stehr (eds) Governing Modern Societie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Sending, O.J. and Neumann, I.B. (2006) ‘Governance to Governmentality: Analyzing NGOs, States and Powe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0(3): 651-72.
Sending, O.J. and Neumann, I.B. (2007) ‘“The International” as Governmentality’, Millennium 35(3): 677-701.
'푸코디언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 The Emergence of Sexuality:Historical Epistemology and the Formation of Concepts (0) | 2014.10.03 |
---|---|
☆푸코의 에피스테메 관련 연구 목록 (0) | 2014.10.03 |
★ (유) Strength in Numbers (0) | 2014.10.01 |
시민을 발명해야 한다(The Will to Empowerment) (0) | 2014.09.05 |
Western Medicine As Contested Knowledge (0) | 201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