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05)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참고글 http://bookdramang.com/526 [사물의 질서]는 고전시기와 근대시기 사이에 일어난 세 가지 담론의 변형에 집중하고 있다. 부의 분석이 어떻게 정치 경제학이 되었으며, 자연 역사의 분석이 어떻게 생물학이 되었는지, 그리고 일반 문법 분석이 어떻게 철학이 되었는지를 보고 있다. 이 세 ..
푸코가 주체의 문제를 언급하며 주체는 만들어진다고 했다.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만들어진 주체이다. 식민지 시대에 한정하더라도, 우리는 식민지 통치를 거치며 만들어졌다. 우리가 누구이며, 우리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과거를 논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
출처: http://greenbee.co.kr/blog/946 ㅡ근대성, 식민성, 탈식민성 기획 간략사 번역 우석균(서울대 라틴아메리카연구소) 1996년경 페루 사회학자 아니발 키하노는 뉴욕주립대학(SUNY) 빙엄턴 캠퍼스에서, 당시 페르낭 브로델 센터 소장이던 미국인 동료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함께 연구를 하고 있었..
Todd A. Henry ☆Assimilating Seoul-Japanese Rule and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목차 Introduction. Assimilation and Space: Toward an Ethnography of Japanese Rule 1. Constructing Keijo: The Uneven Spaces of a Colonial Capital 2. Spiritual Assimilation: Namsan’s Shinto Shrines and Their Festival Celebrations 3. Material Assimilation: Colo..
Japanese and Continental Philosophy: Conversations with the Kyoto School Bret W. Davis,Brian Schroeder,Jason M. Wirth 편집 일본의 교토 학파의 철학을 소개하고 있는 저서이다. 교토 학파란 20세기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서구 철학, 특히 독일 관념철학을 수용한 일본의 철학자들을 지칭하는 말로, 이 철학군의 본류..
Becoming "Japanese": Colonial Taiwan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Formation (공)저: Leo T. S. Ching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in Colonial Korea, 1910-1945 Mark E. Caprio
오끼나와의 동화정책인 창씨개명에 대한 연구이다. http://www.jpri.org/publications/occasionalpapers/op8.html Assimilation Policy in Okinawa: Promotion, Resistance, and "Reconstruction" JPRI Occasional Paper No. 8 (October 1996) Steve Rabson The Japanese phrase doka seisaku is defined in dictionaries as a policy in which a nation endeavors to make the lif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