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푸코, 주체와 권력 본문

푸코 도서관

푸코, 주체와 권력

달고양이 Friday 2014. 8. 31. 22:12


Michel Foucault, "The Subject and Power",

Critical Inquiry, Vol. 8, No. 4. (Summer, 1982), pp. 777-795.

 

 


The Subject and Power.pdf

미셸 푸코

 

왜 권력을 연구하는가? 주체의 문제

 

내가 여기서 논의하고자 하는 바는 이론도 방법론도 아니다. 우선, 나는 지난 20년 동안 내 연구의 목표를 말하고 싶다. 그것은 권력 현상을 분석했던 것도 아니었고, 그러한 분석의 토대를 발전시킨 것도 아니었다.

대신, 나의 목적은 우리 문화에서 인간이 주체로 만들어 지는 서로 다른 양식(modes)의 역사를 밝히는 것이었다. 내 연구는 인간이 주체로 전환되는 예속화의 3가지 양식을 다루어 왔다.

첫째는 인간을 과학의 지위로 호출하고자 하는 연구(inquiry)의 양식이다. 예를 들어, 일반 문법(grammaire generale), 철학, 언어학의 말하는 주체를 대상화하는 것. 또는 이런 첫 번째 양식 차원의 두 번째 예로, 부와 경제 분석에서 생산적 주체, 노동의 주체를 대상화하는 것. 또는 세 번째 예로, 자연의 역사 또는 생물학에서 살아있는 것을 단순한 사실로 대상화하는 것.

내 연구의 두 번째는 내가 ‘구분하는 실천’(dividing practices)을 말하던 주체의 대상화를 연구했다. 주체는 인간 내부에서 구분되거나, 타인과 자신을 구분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을 예속화한다. 광인과 정상인, 병자와 건강한 자, 범죄자와 ‘선량한 자’(good boys)가 그 예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현재 진행하고 있지만, 인간이 자신을 주체로 전환하는 방식을 연구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나는 성의 지배 - 인간이 자신을 성의 주체로 인지하기 위해 학습하는 방식을 선택했다(성의 역사).

그러므로 내 연구의 일반적 주제는 권력이 아니라 주체이다.

내가 권력의 문제에 몰두했다는 것은 사실이다. 내게 있어서 인간 주체가 생산 관계, 함의(signification) 관계에 위치된다고 할 때, 매우 복합한 권력 관계에 위치된다는 것과 같다는 의미로 나타났다. 현재 경제사와 경제이론은 생산 관계의 좋은 기구를 제공했고, 언어학과 의미론은 함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했다. 하지만 권력 관계에 있어 우리가 연구할 도구는 없었다. 우리는 법률 양식에 기반한 권력을 사고하는 방식에 대한 자료만 있을 뿐이었다. 즉, 권력을 정당화하는 것은 무엇인가? 또는 우리는 제도적 양식에 기초한 권력을 사고하는 방식에 대한 자료가 있었다. 즉 국가란 무엇인가?

주체를 예속화하는 것을 연구할 때 이런 정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권력의 정의의 측면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우리가 권력 이론이 필요한가? 이론은 선험적(a prior) 예속화를 가정하기 때문에, 이론은 분석적 작업을 위한 토대로서 주장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분석적 작업은 지속적인 개념화 없이 진행될 수 없다. 그리고 이런 개념화는 비판적 사고-지속적인 점검-를 내포한다.

점검할 첫 번째 사항은 내가 ‘개념적 필요’라 불렀던 것이다. 나는 개념화는 대상에 관한 이론에 기초될 수 없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개념화된 대상은 좋은 개념화의 단일한 기준이 아니다. 우리는 우리의 개념화를 추동하는 역사적 조건을 알아야 한다. 우리에게 우리의 현재 환경(circumstance)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 필요하다.

점검할 두 번째 사항은 우리가 다루는 현실의 유형이다.

유명한 프랑스 언론사의 한 작자는 한 때 놀라움을 이렇게 표현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왜 권력 사고를 제기하는가? 그런 생각에 중요한 주체가 있는가? 다른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논의될 수 있는 만큼 독립적인가?”

이 작가의 놀라움에 나 역시 놀랐다. 나는 이런 문제가 20세기 초에 처음 제기되었다는 가정에 회의적이다. 어찌되었든, 우리에게 이 문제는 이론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경험의 문제이기도 하다. 나는 두 가지 경로 형태를 언급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권력의 질병’은 파시즘과 스탈린주의이다. 이것들은 우리에게 혼란을 주는 한 가지 이유는 역사적 독특함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이 상당히 근원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우리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확대했고, 이것들은 이념들과 정치적 합리성의 장치들을 상당히 사용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권력 관계의 새로운 경제이다. ‘경제’라는 단어는 이론적, 실천적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른 단어로 치환해보자. 칸트 이래로, 철학의 역할은 경험에서 주어진 것의 한계를 넘어서는 합리성을 예방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근대국가와 사회의 정치적 관리가 발전한 이래, 철학의 역할은 정치적 합리성의 과도한 힘(powers)을 감시하는 것이다. 오히려 기대가 높은 편이다.

모든 이가 그러한 진부한 사실들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들이 진부하다는 사실은 그것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가 진부한 사실들을 다루어야 하는 것은 그것들과 연관된 특정한, 아마도 근원적인 문제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합리화와 정치권력의 과도함의 관계는 명백하다. 그러한 관계들의 실존을 인정할 수 있는 관료제 또는 중앙 집중화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그러나 문제는 그러한 명백한 사실을 어찌할까라는 점이다.

우리는 이성적으로 생각하고자 해야 하는가? 우리 마음에 그 어떤 것도 빈약하지 않다. 우선, 그 영역은 무죄 무혐의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 비이성의 반대 개념으로 이성을 언급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시도는 우리를 독단적으로 행동하게 만들고, 합리적이냐 비합리적이냐의 선택으로 곤혹스럽게 만들기 때문이다.

우리의 근대 문화에 특징적이고, 계몽(aufklarung)에 기원하는 일종의 합리주의를 조사해야 할까? 나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일부가 그러한 접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내 목적은 그러한 연구 작업이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러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나는 합리화와 권력의 연결지점을 조사하는 다른 방식을 제안한다.

전체를 사회 또는 문화의 합리화로 동일시하는 것이 아니라 몇 몇 영역, 가령 광기(madness), 질병(illness), 죽음, 범죄, 성 등 경험적인 것을 통해 그러한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현명하다.

‘합리화’라는 단어는 위험하다 생각한다.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합리화의 진보를 항상 내포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합리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The Subject and Power.pdf
0.9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