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유)Assimilating Seoul 본문

영토·공간 연구

☆(유)Assimilating Seoul

달고양이 Friday 2014. 9. 10. 15:45

Todd A. Henry

Assimilating Seoul-Japanese Rule and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in Colonial Korea, 1910–1945 

목차

Introduction. Assimilation and Space: Toward an Ethnography of Japanese Rule
1. Constructing Keijo: The Uneven Spaces of a Colonial Capital
2. Spiritual Assimilation: Namsan’s Shinto Shrines and Their Festival Celebrations
3. Material Assimilation: Colonial Expositions on the Kyongbok Palace Grounds
4. Civic Assimilation: Sanitary Life in Neighborhood Keijo
5. Imperial Subjectification: The Collapsing Spaces of a Wartime City

Epilogue. After Empire’s Demise: The Postcolonial Remaking of Seoul’s Public Spaces

-

2014년 2월 출판된 연구물이다. 기존의 민족주의 사관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대신 미시적 관점에서 서울에서 발생한 소소한 일상들을 통해 일본의 동화정책이 당시 조선인들을 어떤 주체로 만들어내고자 했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임파워먼트 개념을 사용하고 있어 관심이 더 간다.

이 연구의 개괄적인 설명을 보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라.

http://www.ucpress.edu/book.php?isbn=9780520276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