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근대화 (83)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한국사회에서 결혼은 법률적 행위(혼인신고)를 통해서만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혼인관계는 지역 공동체나 가족 혹은 지인들로부터 인정반는 것으로 충분했습니다. 굳이 왕에게 혼인사실을 인정해달라고 간청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다만 조선시대에 호구조사가 이루어져서 인구를 관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호구조사를 바탕으로 가족관계의 사실과 권리가 인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혼인관계는 혼례식을 통한 가족 마을 등의 공동체가 인정하는 관습에 의해 인정받았을 뿐입니다. 하지만 근대국가 체계가 도입되면서 점차 혼인도 법률적 행위를 통해서만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1909년 민법이 도입되면서 혼인 신고 제도고 강제되기 시작했고, 1922년 민사령과 조선호적령이 시행되면서 혼인신고가 혼인관계 인정하는 효력..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근대화 이론 연구들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2009년 3월 12일, Sheri Berman의 foreign affairs 기고문입니다.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An annotated Foreign Affairs syllabus on modernization theory. www.foreignaffairs.com 근대화 이론(산업화와 경제 발전이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사회 정치적 변화로 이어진다는 믿음)은 반세기 이상 동안 강렬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의 주제였습니다. 자유 시장의 세계적 확산과 민주화의 제3의 물결 덕분에 근대화 이론이 1990년대 워싱턴에서 다시 유행하여 개발도상국에 대한 미국 정책의 많은 부분에 정보..
Understanding Postcolonialism (Understanding Movements in Modern Thought) Jane Hiddleston
Civilizing Natures Race, Resources, and Modernity in Colonial South India Kavita Philip, Rutgers University Press, 2004
The Cambridge History of Science - Eighteenth Century(Vol 4)
Schmid, Andre Korea between Empires, 1895-1919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