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05)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서양에서의 국가 개념의 변화 2) 국가이성 16세기가 시작될 때까지도 stato는 여전히 중세적 의미를 완전히 탈각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그래도 stato가 어떤 부가어도 동반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분명한 정치적 의미를 갖는 단어로 정착되어 가고 있었던 사정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마키아..
개념사란 무엇인가 1. 근대 ― 근대개념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단상 (출처 : www.krpia.co.kr ) ‘모던’, 또는 ‘모더니티’의 번역어 ‘근대’라는 말 속에는 규범적인 것과 실제적인 것이 섞여 있다. 이중의 의미에서 그러하다. 한편으로 이 개념은 서구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을 보편사적 맥..
[천지일보=송범석 기자] 베를린 자유대학 초대 총장이자 독일의 역사가인 프리드리히 마이네케(1862-1954)는 그가 집필한 <국가권력의 이념사(1924)>에서 근대 이후 유럽에서 전개된 정치권력과 윤리의 역학관계를 냉철하게 고찰한다. 마이네케의 부각은 랑케가 이끌어가던 독일 역사학..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개념사란 무엇인가 6. 자본주의 정신 - 신조어로 표현된 세기말의 근대비판 노래와 대도시들, 꿈의 눈사태, 색 바랜 땅들 명성을 잃어버린 남극과 북극, 죄지은 여인들 궁핍 그리고 영웅들, 유령의 부글거림, 레일 위의 폭풍 아득한 구름 속엔 프로펠러 돌아가..
'동양 최대' 이승만 대통령이 제주에 지은 국립목장 김태일 news@jejusori.net 2014년 04월 22일 화요일 10:53 0면 [제주 근대건축 산책] (18) 이승만 대통령과 국립제주목장, 그리고 특호관사 下 上편(하와이 꿈꾸던 이승만, 제주에 국립목장 지은 까닭)에 이어집니다. 목장 내에는 물이 고이는 지역..
[제주 근대건축 산책] (18) 이승만 대통령과 국립제주목장, 그리고 특호관사 上 이승만 대통령과 제주는 그다지 좋은 인연을 맺지 못한 것 같다. 가장 큰 원인은 4․3사건 당시 국정최고 책임자였다는 점과 사태수습과정에서 수많은 희생이 뒤따른 결과에 대한 책임때문일 것이다. 그럼..
[제주 근대건축 산책] (8) 일제강점기의 주택정책과 주거형태 上 일제강점기, 행정 관료뿐만 아니라 기업과 가족 단위 등 적지 않은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에 거주하게 된다. 그들이 거주하기 위해 짓기 시작한 일본인들의 주택을 일식주택(日式住宅), 즉 일본식 주택이라 부른다. 일제강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