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05)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제주 4․3의 과거 청산을 말할 때 ‘화해’가 강조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제주 4․3의 과거 청산을 말하면서도 화해를 심도있게 논의해 본 적이 없습니다. 도대체 제주 4.3에서 말하는 화해는 무슨 의미인가요? 화해를 이야기 할 때 어떤 화해를 말할 것인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화해는 사전적 의미로 ‘갈등과 다툼을 그치고 서로 가지고 있던 나쁜 감정’을 풀어낸다고 정의됩니다. 사전적 의미는 일상적으로 화해는 서로 다툰 친구 사이의 관계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됩니다. 법률적 의미에서 화해는 민사상의 분쟁과 관련된 소송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여 분쟁을 끝내기로 약속하는 행위로 규정됩니다. 하지만, 과거 청산과 관련된 거시적 수준, 즉 국가 공동체 수준의 화해는 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09년 3월 12일, Sheri Berman의 foreign affairs 기고문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을 번역한 것입니다.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An annotated Foreign Affairs syllabus on modernization theory. www.foreignaffairs.com 근대화 이론(산업화와 경제 발전이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사회 정치적 변화로 이어진다는 믿음)은 반세기 이상 동안 강렬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의 주제였습니다. 자유 시장의 세계적 확산과 민주화의 제3의 물결 덕분에 근대화 이론이 1990년대 워싱턴에서 다시 ..
행복은 '쾌락의 향유, 고통으로부터의 안전' 벤담은 행복을 '쾌락의 향유, 고통으로부터의 안전'이라고 보았습니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은 벤담이 먼저 사용한 용어가 아닙니다. 벤담 이전의 지식인들도 공리주의를 표명했습니다. 허치슨(Fr. Hutcheson), 퀸시(J. Quincy), 베카리아(C. Beccaria), 뷜라마키(J.-J. Burlamaqui) 등은 이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the greatest happiness for/of the greatest number)’ 개념을 벤담보다 앞서 국가철학의 핵심으로 제시했습니다. 토마스 홉스의 은 공화주의와 자유주의 사회계약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홉스의 주요 관심사인 안전은 당대 사회뿐만 아니라 벤담의 공리주의..
From Presumption to Prudence in Just-War Rationality 저자: Kevin Carnahan
이 글은 중세를 연구하는 E.H. Carr 증손녀 헬렌 Carr가 2019년 5월 8일에 the New Statesmen에 기고한 글입니다. History according to EH CarrThe historian was prescient in warning that the value of facts depends on who wields them.www.newstatesman.com 1961년 1월과 3월 사이에 역사가이자 외교관인 에드워드 할렛 카(Edward Hallett Carr)는 일련의 강의를 진행했으며 나중에 우리 시대의 가장 유명한 역사 이론 중 하나로 출판되었습니다. 그의 강의에서 그는 독자들에게 "사실을 연구하기 전에 역사가를 연구하라"고 조언하면서 과거에 대한 모든 설명은 대체로 그..
근대화 이론 연구들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2009년 3월 12일, Sheri Berman의 foreign affairs 기고문입니다. What to Read on Modernization Theory An annotated Foreign Affairs syllabus on modernization theory. www.foreignaffairs.com 근대화 이론(산업화와 경제 발전이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사회 정치적 변화로 이어진다는 믿음)은 반세기 이상 동안 강렬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의 주제였습니다. 자유 시장의 세계적 확산과 민주화의 제3의 물결 덕분에 근대화 이론이 1990년대 워싱턴에서 다시 유행하여 개발도상국에 대한 미국 정책의 많은 부분에 정보..
자신이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세상이 너무나 어리석고 비열해 보일지라도 이에 좌절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 사람, 그리고 그 어떤 상황에 대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할 확신을 가진 사람. 이런 사람만이 정치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있다.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사회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정치와 관련 저작도 출판한 바 았다. 독일이 1차 대전에서 패하고 독일 사회에서 새로운 질서를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1918년부터 일어났다. 우리가 다 알는 바와 같이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이런 소용돌이 속에서 막스 베버는 진보적인 학생운동 단체의 초청으로 강의를 하게 된다. 이 강연 내용이 이후 로 출간되었다. 베버는 이 강연에서 10년 후 독일 사회가 어떻게 변해 있을지에 대해 암울한 예측을 했다..